мȸ ǥ ʷ

ǥ : ȣ - 510100   203 
고위험 관상동맥 중재술 시에 ReoPro®를 사용한 환자 중 흡연 및 염증지표와 재협착의 관계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심도자실, 전남대학교 심혈관계 특성화 사업단
박수환, 정명호, 김인수, 김정훈, 이두환, 최옥자, 이지숙, 정민아, 박현아, 심두선, 조정선, 정종원, 윤남식, 문재연, 홍영준, 김주한,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연구배경 및 목적 : ReoPro® 는 monoclonal antibody 제제로 혈소판의 당단백 수용체 GPIIb/IIIa와 결합하는 혈소판응집의 차단제로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시술 중 급성 혈관 내 혈전증의 고위험 환자군에 사용하고 있다. 흡연은 관상동맥 내 혈전 형성과 관계되어 있으며, 관상동맥 내 염증반응은 죽상종 파열과 관계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흡연 및 염증반응은 혈전 형성과 관계가 있으며, 본 연구는 ReoProⓇ 투여 환자에서 흡연과 염증 반응이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2월부터 2007년 7월까지 ReoPro® 를 사용하면서 PCI를 시술 받았던 928예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성별, 흡연, 염증지표, 진단명, 재협착 등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PCI중 ReoPro® 를 사용하였던 환자는 남자 727명 (78.3%, 59.4± 11.9세), 여자 201명 (21.7%, 68.6± 8.9세이었으며, 흡연군은 566명 (61.0%, 58.1± 11.9세), 비 흡연군 362명 (39.0%, 66.6± 9.9세)로서 흡연군에서 연령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임상진단명은 급성 심근경색증 774명 (83.4%), 불안정형 협심증 115명(12.4%), 안정형 협심증 20명 (2.2%), 진구성 심근경색증 19명 (2.0%)이었으며,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중 흡연군 491명 (63.4%), 비흡연군 283명 (36.3%)로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염증지표인 C-reactive protein (CRP)은 흡연군 2.8± 4.2 mg/dL, 비흡연군 3.3± 5.3 mg/dL로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9).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는 579예(62.4%)이었고, 재협착은 167예(28.0%)에서 진단되었다. 흡연과 염증 지표 사이의 재협착률에서는 흡연가 94/363예 (31.2%), 비흡연가 68/216예 (31.4%)로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148), 고 CRP군 (≥1.0mg/dL) 94/314예 (35.3%), 저 CRP군(<1.0mg/dL) 68/265예 (21.7%)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PCI 시술 후 CRP가 높은 환자군은 낮은 환자군에 비해 재협착이 발생할 비교위험도가 1.98배 높았다. 결론: ReoPro® 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와 젊은 흡연가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흡연은 재협착율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염증지표가 높은 환자군에서 재협착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