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10426   68 
Monocrotaline으로 유도된 폐동맥 고혈압 백서 모델에서 Bosentan 치료 후에 혈청 Nitric Oxide 농도 와 유전자 발현의 변화
이화대학교 의과대학교 동대문병원 소아청소년과¹, 포천 중문의과대학교 소아청소년과²
홍영미, 임경아²
서론: 폐동맥 고혈압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선천성 심장병, 호흡곤란 증후군, 만성 저산소증 등 여러 원인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거나 특발성으로 발생하며, 점차적인 폐혈관 저항의 증가로 우심실부전과 조기 사망을 초래한다. Endothelin-1은 강력하고 오래 지속되는 혈관 수축자로 nitric oxide(NO), prostaglandin, matrix metalloproteinase(MMP) 등과 같이 혈관 활성 매개체로 작용함이 밝혀져 있다. 연자들은 monocrotaline으로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시키고 bosentan 치료 후의 혈청 NO와 MMP-2의 변화와 endothelial NO의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Sprague-Dawley 백서에 monocrotaline 수용액 60 mg/kg를 배부에 1회 피하주사하였고, 치료군으로 bosentan을 6.25 mg/일을 매일 6주간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동일 부위에 피하 주사하였다. 약물 투여 후 각각 1일, 2주, 4주, 6주에 도살하였다. 우심실/좌심실+우심실 무게의 비, 폐/체중의 비, 간/체중의 비를 측정하여 세군 간에 비교하였다. ELISA 방법으로 혈청에서 NO, MMP-2를 측정하였다. NO는 primer를 이용하여 RT-PCR을 시행하였다. 추출한 total RNA는 역전사 효소를 이용한 first-strand cDNA 합성을 위하여 사용되었고. 합성된 first-strand cDNA는 GAPDH gene을 이용하여 보정하며 보정된 cDNA를 template로 사용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은 2%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통하여 분리하였다. 결과: Monocrotline군에서 우심실/좌심실+우심실무게 비는 2, 4, 6주째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bosentan군에서는 4주째 monocrotalin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폐/체중 비도 4, 6주째 대조군에 비해 monocrotaline군에서 높았다. 혈청 NO 농도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MMP-2 치는 6주째 monocrotaline 군에서 256.61± 62.47 ng/mL로 대조군의 181.08±13.77 ng/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6주째 bosentan군에서 monocrotaline군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NO 유전자 발현은 4주째 bosentan군에서 monocrotalin 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Monocrotaline으로 쥐에서 폐동맥 고혈압 모델을 만들었고, bosentan 치료 후에 우심실/좌우심실 체중비와 혈청 MMP2, NO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Bosentan 효과를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쥐에서 장기간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