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10456   332 
심장 이식 후 BNP 농도 변화 및 이에 관련된 인자들의 분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¹ ,흉부외과² ,장기이식센터³
박종필¹, 송재관¹, 이승환¹, 김영학¹, 이철환¹, 홍명기¹, 박성욱¹, 박승정¹, 송명근² , 김인옥³ , 김재중¹
배경: 심장 이식 전 상승되어 있는 BNP농도는 심장 이식을 받은 후 바로 감소하지 않고 수개월에 걸쳐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자들은 심장 이식 후 1년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BNP농도를 측정하여 BNP수치 변화의 경향과 그의 임상적 관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 1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심장 이식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36명중 심장이식 전, 심장이식 후 2주, 4주, 3개월, 6개월, 9개월, 1년에 혈중 BNP가 측정된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BNP치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완기능을 나타내는 E/A(group1 <2 vs group2 ≥2), E/E′ (group1 ≤8 vs group2 >8), 재관류 시간을 나타내는 허혈시간 (group1 120 vs 120240분)과 이식 후에 시행한 조직검사의 grade(group1=grade0,1 vs group2= grade2,3,4)를 각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이식 전 측정된 BNP농도에 따른 이식 후 BNP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식 후 2주에 측정한 BNP를 4분위 하여서 가장 높은 농도의 군(Q4)과 가장 낮은 농도의 군(Q1)을 위의 군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과 : 측정된 평균 BNP 농도는 이식 전 1383pg/mL, 2주 982pg/mL, 4주433pg/mL, 3개월 150pg/mL, 6개월116pg/mL, 9개월109pg/mL, 12개월 82pg/mL로 감소하였고 이들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BNP수치를 E/A group(p=0.576), E/E′ group(p=0.307), 허혈시간 group(p=0.806), 조직검사 grade group(p=0.790)에 따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인 의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전 BNP농도와 이식후 BNP농도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분위한 BNP는 각각 364, 595, 941, 1798 pg/mL 였고 Q1, Q4 사이에 E/A, E/E′, 허혈시간 및 조직검사 grade군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었었다. 결론: 심장 이식 후 정상 심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심장 이식 환자에서 BNP 수치는 이식 후 3개월까지는 높은 수치를 유지하며 이 수치는 허혈 시간, 이완기 심기능 및 거부반응의 정도와 관련이 없었다. 따라서 심장 이식 후 초기에는 혈중 BNP 수치가 거부 반응을 예측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3개월 이 후에는 이식 심장의 합병증의 예측이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