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10702   272 
정상율동군과 심방세동 환자에서의 2D LA volume과 3D LA volume과의 관계
원광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이상재, 유남진, 윤경호, 박은미, 이은미, 김남호, 오석규, 정진원

서론 현재 diastolic heart failur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LA volume은 diastolic heart failure의 진단 및 예후에 대한 중요한 인지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2D echocardiogram으로 구한 LA volume과 최근에 관심을 받는 3D echocardiography로 구한 volume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상 율동을 가진 환자군 에서와 심방세동을 가진 군에서 각각 2D와 3D LA volume에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순환기 내과에서 심장초음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율동을 가지는 그룹(n=20)과 심방세동을 가진 그룹(n=12)을 무작위로 선택하여서 2D echocardiography와 3D echocardiography를 시행하였으며 2D echocardiography에서는 LA volume을 area-length method를 사용하여 구하였고 그 외에 LA length와 mitral inflow E, E` wave, modified Simpson's method를 이용한 LA ejection fraction을 측정하였으며 3D echocardiography로는 3D date를 얻어서 post processing을 통해서 LA volume과 stroke volume, LA ejection fraction 을 구하였다. 3D post processing은 Tomtec 4D LV volume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2D 및 3D data는 GE Vivid 7 dimen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심장초음파에 경험이 있는 3명이 분석하였으며 LA volume 측정 시 LA appendage 및 pulmonary vein이 들어오는 부분은 제외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군 에서의 2D, 3D LA vlome의 상관계수는 0.87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며 정상율동군과 심방세동 군의 2D, 3D LA volume의 상관계수는 각각 0.816, 0.694이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정상율동군에서 LA volume과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측정값은 parasternal long axis와 short axis에서 구한 LA diameter와 상관관계가 각각 0.631, 0.695로 통계적으로 의의는 있으나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못하였으며 3D로 구한 LA end systolic volume과 end diastolic volume 또한 상관계수가 0.685, 0.49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상관관계는 강하지 않았다. 심방세동 환자군 에서는 parasternal long axis diameter와 3D LA end diastolic volume 만이 상관계수가 0.617, 0.77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다.
결론 LA volume은 diastolic heart failure의 중요한 지표이며 이는 3D echocardiography로 구하였을 때에 더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3D로 구한 LA volume이 diastolic heart failure의 강력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심방세동 환자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