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10738   141 
Poly Butyl Meth Acrylate(PBMA)-Taxol(paclitaxel) film를 이용한 혈관재협착 예방효과
충북대병원 순화기내과¹ 전남대학교 의과대학² 충북대학교 공과대학³
권진숙², 박노관¹ 이호연³ 허신행³ 정일하¹ 심태진¹ 김유경¹ 한아름¹ 배장환¹ 황경국¹ 조명찬¹ 김범수 ³김동운¹
서론: 약물 방출 스텐트의 개발에 있어 적합한 약물, 구조적인 안정성, 적절한 약물 방출을 위한 폴리머의 개발은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적절한 폴리머의 개발을 위하여 많은 연구진들이 현재도 연구를 진행중이다. 이에 본 연구진에서는 스텐트 개발에 앞서 적절한 약물 방출 폴리머를 개발하기 위하여 비분해성 물질인 Poly Butyl Meth Acrylate; (PBMA)를 이용하여 생체내에서의 약물 방출 정도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및 결과: PBMA는 일정 면적당 (1*0.9 cm) 200ug의 taxol을 포함하도록 생성된 후 film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일정 시간 방치하여 용매로 사용된 유기 물질을 모두 제거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taxol(paclitaxel)의 lipophilic한 성질을 이용하여 PBS에서의 방출 속도를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약물이 안정적으로 방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체내에서의 약물 방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t carotid injury model을 사용하였다. SD rat의 carotid artery에 2F Fogarty 풍선도자를 injury를 유발하여 재협착을 유도한 후 유발 부위에 각 film을 (PBMA-non Taxol film, PBMA-Taxol film)을 감아 고정 시켰다. 수술 2주 후에 formalin을 이용하여 관류 고정시킨 후 혈관을 적출하여 H&E 염색을 시행한 후 재협착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BMA-Taxol군은 PBMA-non Taxol군에 비하여 신생내막의 형성이 약 70% 정도 억제되었다.(PBMA-non Taxol film vs PBMA-Taxol; 혈관내강 면적 (mm2): 0.19±0.03 vs 0.32±0.04*, 신생내막 면적 (mm2): 0.10±0.01 vs 0.03±0.02*, 중막 면적: (mm2)0.10±0.01 vs 0.10±0.02, 혈관 협착 정도(%): 34.3±4.0 vs 7.9±5.0*) 결론:: 본 연구결과로부터 우리는 PBMA가 효과적으로 약물(taxol) 방출이 가능한 폴리머임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생체내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단지 폴리머의 기능적 평가 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필름 형태의 약물 함유 폴리머를 이용한 혈관 재협착 방지가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혈관 이식과 같은 경우에도 혈관 재협착 방지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