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10927   71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의 기구폐쇄 후 수축기 및 이완기 심실 기능의 변화에 대한 조직 도플러 연구
연세대햑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
유 병원, 권 해식, 최 재영, 설 준희
목적: 조직도플러(tissue Doppler imaging)를 이용하여 이차공 심방중격결손(ASD)의 기구폐쇄 후 심실의 수축 및 이완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7년 3월부터 6월까지 연세 의료원에서 Amplatzer septal occulder를 이용한 ASD의 기구폐쇄술을 시행받은 성인 18명을 대상으로 시술 전후 추적 심초음파 검사시 pulsed TDI를 시행하였다. 심첨 4방도의 심실중격 및 우심실 전벽 기저부에서 각각 조기이완기(E'), 심방수축기(A’), 수축기(S’), 등적수축기(isovolumetric contraction, IVC)의 심근 속도를 측정하였고 off-line 분석을 통해 등적수축기 가속(isovolumetric contraction acceleration, IVA) 및 심근수행지표(myocardial performance index, MPI)를 얻어 각 변수들의 결손폐쇄 전후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대상군을 쳬폐 순환량비(Qp/Qs, <2.0 vs. ≥2.0)와 연령(<40yrs vs. ≥40yrs)으로 분류하여 변수들의 변화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결손폐쇄 후 우심실의 E’은 감소하고(17.3±3.23, 13.7±3.8cm/s, P=0.002) E’/A’은 증가하였으나(1.19±0.51, 1.04±0.37, P=0.023) 심실중격의 이완기 변수들은 변화가 없었다. 수축기 변수인 IVC와 IVA도 우심실에서는 증가하였으나(10.1±3.2, 15.9±4.6cm/s, P<0.001; 289.9±142.4, 343.0±147.3m/s2, P=0.015) 심실중격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MPI는 모두 차이가 없었다. Qp/Qs 2.0미만에서는 우심실의 E’ 감소가 뚜렷하지 않고 심실중격의 E’이 증가했으나(11.2±4.1, 13.4±4.5, P=0.043) Qp/Qs 2.0이상에서는 우심실의 E’ 감소(17.8±2.9, 13.5±4.1cm/s, P=0.008) E’/A’ 증가(0.97±0.36, 1.26±0.55, P=0.015), IVC와 IVA의 증가가 유의하게 나타났다(10.1±3.5, 15.5±5.5cm/s, P=0.003; 299.2±258.9, 364±154.0m/s2, P=0.026). 저연령군에서는 이완기 변수들의 뚜렷한 변화없이 우심실 IVC만 증가하였으나(11.3±2.2, 14.4±2.2cm/s, P=0.018) 고연령군에서는 우심실 E’ 감소(16.7±3.2, 13.4±4.4cm/s, P=0.012) E’/A’ 증가(0.95±0.37, 1.2±0.6, P=0.025) 및 심실중격 S’과 MPI의 감소를 보였다(8.8±0.97, 8.3±0.74cm/s, P=0.017; 0.36±0.08, 0.31±0.08, P=0.038). 결론: ASD의 기구폐쇄 후 우심실 이완 및 수축기능이 향상되었으며 체폐 순환량비가 큰 결손에서 이러한 변화는 더 뚜렷이 나타났다. 고연령군에서는 결손폐쇄 후 용적부하가 증가하는 좌심실의 수축기능 저하가 나타나 ASD 치료시기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