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40674   280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of Variant angina
대구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
김병규, 성명준×이영수×이진배×류재근×최지용×김기식×장성국
배경 : 관상동맥 연축에 의해 심근 허혈이 유발되는 변이형 협심증은 동양인에서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축 유발 검사로 변이형 협심증이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연축이 나타나는 관상동맥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 2000년 4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임상적으로 변이형 협심증이 의심되는 환자들 중 관상동맥조영술 검사에서 자발적 연축이 관찰되었거나 에르고노빈 연축 유발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난 64명을 대상으로 연축이 나타나는 관상동맥의 소견을 분석하였다. 관상동맥 연축 유발 검사에서 에르고노빈 투여 후 내경이 75% 이상 감소하고 흉통이나 심전도 변화가 동반되는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8.9±11.59세였으며(26~83) 남성의 빈도가 높았다 (남:46, 여:18). 관상동맥의 유의한 고정협착 병변(>50%)이 13례(20.3%)에서 관찰되었으며 관상동맥조영술상 동맥경화 병변이 있는 부위에서 연축이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다(46부위 vs 35 부위). 연축이 발생한 혈관은 단일 혈관이 42례(65.6%), 2 혈관이 12례 (18.8%), 3혈관이 11례 (17.2%)였으며 우관상동맥이 37례로 가장 빈도가 높았고 좌전하행지 33례, 좌회선지 23례 순이었다. 국소형 연축이 많았으나 미만형 연축도 31례에서 관찰되었고 좌회선지에서 가장 빈도가 높았다(12례) . 12례(18.8%)에서 좌전하행지의 심근교락이 동반되었으며 교락 부위에서 연축이 발생한 경우가 5례였다. 주혈관의 연축 없이 분지 혈관에서만 연축이 발생한 경우도 3례 관찰되었다. 결론 : 변이형 협심증 환자에서 관상동맥의 연축이 발생하는 혈관의 종류나 수, 발생 위치, 발생 양상 등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심근교락이 동반된 경우가 많아 심근 교락과 관상동맥 연축이 관련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LAD (N=33)

LCx (N=23)

RCA (N=37)

Branch

 

Total

 

pLAD

mLAD

dLAD

Diffuse

pLCx

mLCx

dLCx

Diffuse

pRCA

mRCA

dRCA

Diffuse

 

1Vs

4

9

 

 

4

1

1

1

5

9

6

 

3

 

41

2Vs

3

4

1

 

1

2

3

 

2

2

3

3

 

 

12

3Vs

2

2

1

7

 

2

1

9

 

 

3

8

 

 

11

Total

9

16

2

8

5

5

5

12

7

11

13

11

 

 

64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 및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