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40828   148 
Comparison of thrombus aspiration catheter with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 versus thrombus aspiration catheter alone in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조대열, 최소연,한은진,김웅걸,박진선,양형모,임홍석,최병주,윤명호,황교승,신준한,탁승제
Background: Aspiration catheter를 이용한 thrombus aspiration과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는 ST절 상승을 동반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일차적 중재시술에 있어서 허혈성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임상결과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thrombus aspiration만 시행한 것에 비해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의 추가적 사용이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ST절 상승을 동반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일차적 중재시술에 있어서 thrombus aspiration catheter를 이용하여 thrombus aspiration만 시행한 군과 추가적인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를 사용한 군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Methods: 2005년 1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 내원한 ST절 상승 급성심근경색 환자 중 일차적 중재술 시 thrombus aspiration catheter와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를 같이 사용한 군(group A, n=48)과 thrombus aspiration catheter만 사용한 군(group B, n=146)을 대상으로 하였다. Primary end point는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MACE; composite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MI),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TVR))으로 정의하였고 두 군 간의 임상적소견과 index procedure시 관상동맥조영술에서의 시술 전 후 TIMI flow와 TMP grade를 비교하였다. TIMI flow 0,1,2는 no reflow로, TIMI flow 3는 normal flow로 정의하였다. Results: 환자의 나이는 group B에서 더 많았으며(53 ±11 vs. 58 ±12세, p=0.014), 좌심실구혈율은 group A에서 더 낮았다(48±11 vs. 53±11%, p=0.004). 시술 후 no reflow 현상은 group A에서 더 적었고(18.8 vs. 34.2%, p=0.037), TMP grade 3 획득률은 group A가 더 많았다(52.1% vs. 28.8%, p=0.026). Death(8.3% vs. 2.1%, p=0.063), MI(0.0% vs. 0.7%, p=0.45), TVR(2.1% vs. 1.4%, p=0.737)과 1년 MACE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10.4% vs. 3.4%, p=0.077). 전체 환자에서 MACE 발생의 예측인자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낮은 좌심실구혈율( EF<40%)이 유일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였으며(OR 5.383, 95% CI 1.043-27.782 p=0.044),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의 사용은 MACE의 예측인자가 아니었다. Conclusions: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일차적 중재시술 시 thrombus aspiration catheter만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추가적인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의 사용은 시술 후 혈류 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나 장기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MACE의 유일한 예측인자는 낮은 좌심실 구혈율이었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 및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