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Warning: getimagesize(/home/virtual/circulationadmin/renewal/econgress/conference/abstract/img_files/표.jpg) [function.getimagesize]: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circulationadmin/new/econgress/conference/manage/schedule/view_abstract.php on line 164
ǥ : ȣ - 540861   345 
Provisional strategy에서 곁가지 시술 실패의 예측인자 - 국내 다기관 코호트 연구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신동호, 박경우1, 구본권1, 서재빈2, 권현철3, 정명호4, 성인환5, 나승운6, 양주영7, 박승정8, 윤정한9, 한규록10, 박종선11, 허승호12, 탁승제13, 김효수1
배경 현재 관동맥 분지 병변 시술의 표준 치료로 provisional strategy가 추천되고 있지만 2-stent strategy가 필요한 상황도 간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 provisional strategy가 실패하는지, 그래서 어떨때 처음부터 2-stent strategy를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관 등록자료를 이용하여 provisional strategy를 이용한 시술 중 곁가지 시술 실패의 예측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국내 16개 심혈관센터에서 관상동맥 분지부의 병변으로 약물용출스텐트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환자 1691명이 web-based registry인 COBIS registry에 등록되었다. 이 중 provisional strategy로 시술한 1497명의 환자 중 QCA 분석이 가능했던 132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곁가지 시술 실패는 곁가지의 급성폐쇄나 TIMI flow가 grade 2 이하로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와 함께 주혈관 스텐트 삽입 이후 곁가지 입구의 협착이 75% 또는 90% 이상이 되는 예측인자도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rovisional strategy로 분지병변 시술을 받은 환자 중 곁가지에 대해 predilation, 스텐트 삽입술 또는 kissing balloon inflation을 시행한 경우는 각각 16.6%, 6.7%, 34.9%였다. 시술 과정에서 곁가지의 혈류가 감소한 곁가지 시술 실패는 11.7%에서 발생하였고, 주혈관 스텐트 삽입 후 곁가지 입구의 협착이 75% 또는 90% 이상 되는 경우는 각각 12.0%, 3.1%였다. 곁가지 시술 실패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는, 곁가지의 크기 (OR 0.37, 95% CI 0.22~0.64) 와 협착 정도 (OR 1.16 95% CI 1.06~1.26), 병변의 길이 (OR 1.04 95% CI 1.02~1.07) 뿐이었다. 주혈관 스텐트 삽입 후 곁가지 입구의 협착 정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곁가지의 협착, 석회화 정도 및 곁가지에 대한 predilation 등이 있었다 (표). 결론 곁가지 시술 실패의 예측인자는 곁가지의 크기와 병변의 길이, 협착 정도였으며, 주혈관 스텐트 삽입 후 곁가지의 협착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곁가지의 협착, 석회화 정도 및 곁가지에 대한 predilation이었다.
̹ 󼼺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 및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