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50968   44 
24시간 활동 혈압기를 이용한 아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보인 혈압 패턴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1),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순환기내과2)
황인겸1), 라지은1), 김연경1), 신성남1), 고점석1), 이상재1), 윤경호1), 유남진 1), 김남호1), 오석규1), 정진원1),최철웅2), 서홍석2), 이은미1)
배경 및 목적: 고혈압은 뇌졸증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혈압 패턴 중 nondipper, reverse dipper에서 더 호발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뇌졸증 발병 이후 혈압이 안정화 되는 시기인 아급성기(뇌졸증 발병 후 2주에서 4주사이) 혈압의 패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뇌졸즐 발병 후 2주에 혈압패턴과 이에 따른 위험도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8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원광대학교 산본병원에 내원하여 급성 뇌경색으로 진단 받고 발병 2주에 활동 혈압기를 측정한 1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남자:여자 62:52명, 평균나이 64.17± 3.40세). 뇌경색은 TOAST 분류에 따랐으며 혈압 패턴은 dipper, nondipper, extreme dipper, reverse dippe로 분류하였고, 활동 후 2시간 내에 혈압을 측정하여 135/85mmHg 이상을 보인 군은 아침형 혈압군으로 정의하였고 기상후 2시간에서 기상전 2시간의 혈압 평균을 뺀 값이 25mmHg 이상을 보인 군을 morning surge 군으로 정의 하였다.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E/E` 비와 좌심실 비대 정도를 확인하였고 그 외에 C-reactive protein, creatinine 등을 확인하였다. 혈압 패턴에 따른 재경색의 발생률을 보았으며 평균 1.8년 동안 추적 관찰 하였다. 결과 : 뇌경색의 원인으로는 소혈관 경색이 67.7%로 가장 많았으며124명 중 75명(60.5%)에서 고혈압 소견을 보였으며 reverse dipper형이 40%(30명)로 가장 많았고 nondipper(29.3%, 22명)), dipper (25.3%, 19명), extreme dipper(3.3%, 3명) 순을 보였다. 84%(63명)에서 아침형 혈압을 보였으며 이 중 surge군은 7.9%(5명)이었다. 뇌경색의 재발은 고혈압 군에서 12%(9명)에서 고혈압을 보이지 않았던 군에서는 (7명, 13.7%)을 보였다. 아침형 고혈압 유무, dipper유무로 나누었을 때 두 군 사이에 생화학 검사 소견과 좌심실 비대 정도, E/E`외 뇌경색 재발율에 있어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뇌졸중의 아급성기에서는 nondipper와 reverse dipper형태가 많았으나 재경색 발생율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러한 혈압의 패턴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지에 대해서는 향후 추적 기간의 연장과 대규모의 환자를 대상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안내 교통 안내 전시 및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