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ESC.2025

비폐쇄성 비후성심근증에서 Mavacamten은 답이 될 수 있을까? – ODYSSEY-HCM trial

Mavacamten in Symptomatic Nonobstructive Hypertrophic Cardiomyopathy

오진경 충남의대

연구요약

폐쇄성 비후성심근증(obstructive HCM) 환자에서 획기적 치료제로 자리 잡은 mavacamten은 좌심실 유출로 폐쇄를 완화하고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입증되어 이미 임상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폐쇄성(nonobstructive) HCM은 병태생리가 복잡하고 승인된 치료제가 없으며, 기존 약제도 제한적인 효과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진행된 ODYSSEY-HCM 연구는 증상이 있는 비폐쇄성 HCM 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대규모 3상 무작위·이중맹검·위약 대조 임상시험이다. 전 세계 201개 센터에서 총 580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으며, mavacamten 또는 위약을 1:1로 배정하여 48주간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mavacamten군에서 주요 평가 변수인 환자보고 건강상태(KCCQ-CSS)가 13.1점, 최대 산소섭취량(peak VO₂)이 0.52 ml/kg/min 증가하여 각각 위약군(10.4점, 0.05ml/kg/min)보다 높은 개선을 보였으나, 두 군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2차 평가 변수에 대한 추가 통계 검정은 진행되지 않았지만, NT-proBNP는 mavacamten군에서 위약군 대비 뚜렷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임상적 의의

이번 ODYSSEY-HCM 연구는 증상이 있는 비폐쇄성 HCM 환자에서 mavacamten이 위약 대비 임상적으로 유의한 증상 개선이나 운동능력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였다. 이는 폐쇄성 HCM에서 이미 확인된 긍정적인 결과와는 상반되는 것으로, 비폐쇄성 HCM의 병태생리가 단순한 과수축 억제만으로는 설명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이 환자군에서는 이완장애, 미세혈관 허혈, 심근 에너지 대사 이상 등 다양한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일 기전을 표적으로 하는 약제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T-proBNP 감소와 같은 생체지표의 호전이 관찰된 점은 주목할 만하며, 이는 특정 하위군 환자에서는 mavacamten이 잠재적인 치료 효과를 보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현 시점에서 mavacamten을 비폐쇄성 HCM 환자의 표준 치료로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ODYSSEY-HCM 연구는 환자군별 맞춤 치료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한 연구로 평가할 수 있다.1)2)


그림1. 주요 평가 변수 결과: 최대 산소섭취량(peak VO₂)와 환자보고 건강상태(KCCQ-CSS)


참고문헌

1) Desai MY, Owens AT, Abraham T, et al. Mavacamten in Symptomatic Nonobstructive Hypertrophic Cardiomyopathy. N Engl J Med 2025.
2) Arbelo E, Protonotarios A, Gimeno JR, et al. 2023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ardiomyopathies. Eur Heart J 2023;44:3503-626.

대한심장학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1704호 (우: 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