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ESC.2025

BaxHTN: Baxdrostat의 저항성 및 조절불량 고혈압 환자에서의 혈압 강하 효과와 안전성

BaxHTN: Baxdrostat in Patients with Uncontrolled or Resistant Hypertension

신정훈 한양의대

연구요약

BaxHTN trial은 저항성(resistant) 또는 조절불량(uncontrolled) 고혈압 환자에서 baxdrostat(알도스테론 합성효소 억제제, aldosterone synthase inhibitor)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다국적,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3상 임상시험이다.

총 796명의 환자(평균연령 61세, 남성 62%)가 등록되었으며, 73%는 저항성 고혈압 환자였다. 모든 환자는 2제 이상(조절불량) 또는 3제 이상(저항성) 항고혈압제를 복용 중이었으며, 반드시 이뇨제를 포함하였다. 환자들은 위약, baxdrostat 1mg, baxdrostat 2mg 1일 1회 투여군으로 1:1:1 무작위 배정되어 12주간 추적되었다. 이후 12주 공개연장(open-label) 및 8주 무작위 철회(randomized withdrawal) 단계를 거쳤다.

12주 시점에서 baxdrostat 1mg군과 2mg군 모두 위약 대비 유의한 혈압 강하 효과를 보였다(그림1). 구체적으로 위약군의 수축기 혈압은 평균 –5.8mmHg 감소한 반면, baxdrostat 1mg군은 –14.5mmHg, 2mg군은 –15.7mmHg 감소하여, 위약 보정 효과는 각각 –8.7mmHg 및 –9.8mmHg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또한 8주간의 무작위 철회(randomized withdrawal) 단계에서 baxdrostat 2mg군은 혈압이 –3.7mmHg 추가 감소한 반면 위약군은 +1.4mmHg 상승하여, 두 군 간 차이는 –5.1mmHg였다(P=0.002). 이는 약효의 지속성과 rebound 현상이 거의 없음을 보여준다. 부가적으로 24시간 활동혈압검사를 시행한 환자 하위군 분석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평균 24시간 수축기혈압은 baxdrostat 투여군에서 위약 대비 약 –15mmHg 더 크게 감소하였다. 혈중 알도스테론 농도는 60–65% 감소하였고, 레닌 활성은 반대로 상승하여 약물의 기전적 효과를 뒷받침하였다.


그림1. BaxHTN trial 주요 결과

Baxdrostat은 전체적으로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였다. 치료 기간 동안 보고된 이상반응은 대체로 경미하였으며, 흔히 나타난 부작용으로는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저혈압, 근육경련, 어지럼증 등이 있었다. 혈중 칼륨이 6.0mmol/L를 초과한 경우는 위약군 0.4%, baxdrostat 1mg군 2.3%, 2mg군 3.0%에서 발생하였다. 저나트륨혈증은 baxdrostat 투여군에서 위약군보다 더 흔했으나 대부분 임상적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았고, 일부는 고용량에서 더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사구체여과율(eGFR)은 baxdrostat 투여군에서 평균 약 –7mL/min/1.73㎡ 감소했으나 철회 단계에서 위약군에서는 기저치로 회복되어 기능적 변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률은 낮았으며, 부신기능저하는 보고되지 않았다.

임상적 의의

BaxHTN trial은 기존 다제요법에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서 baxdrostat의 유의한 추가 혈압 강하 효과와 수용 가능한 안전성을 입증하였다. 이번 연구는 알도스테론 경로가 난치성 고혈압의 병태생리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재확인했으며, 기존 MRA(spironolactone 등)의 한계를 보완할 새로운 기전 약제로서 baxdrostat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무작위 철회 단계에서 관찰된 지속적인 혈압 강하 효과와 rebound 부재는 질병의 병태생리적 리모델링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장기 추적에서 심혈관 사건 감소 효과가 입증된다면, baxdrostat은 저항성뿐 아니라 보다 넓은 고혈압 환자군에서도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 Flack, John M.,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Baxdrostat in Uncontrolled and Resistant Hypertens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5).
2) Neale T. BaxHTN: Baxdrostat Lowers BP in Uncontrolled and Resistant Hypertension. TCTMD. August 31, 2025
3) Guzik, Tomasz J., and Maciej Tomaszewski. "Aldosterone Synthase Inhibition for Hypertens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5).

대한심장학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1704호 (우: 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