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ESC.2025

세마글루타이드, 혈당 조절을 넘어 혈관을 되살리고 염증을 잠재우다

Semaglutide promotes vascular repair mechanisms

권유욱 서울의대

연구요약

Brady Park 박사는 ESC 2025의 Late‑Breaking Basic & Translational Science 세션에서 “Semaglutide promotes vascular repair mechanisms”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였다. 이번에 보고된 SEMA‑VR CardioLink‑15 연구는 2형 당뇨병 또는 비만 환자이면서 죽상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 또는 그 위험 요인을 동반한 고위험군 46명을 대상으로 6개월 개방형 무작위배정한 연구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험자를 Semaglutide 투여군(22명)과 기존 치료군(24명)으로 나누고, 혈액 내 혈관 재생 세포(Vascular Regenerative Cells; VR cells)의 변화를 flow cytometry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Semaglutide 투여군에서는 ALDHhi SSClow 세포가 34.8% 증가(대조군 +0.8%, p=0.036), Pan-hematopoietic myeloid progenitors는 40.1% 증가(대조군 +2.8%, p=0.017), 그리고 endothelial precursor 세포는 –2.3%에서 +66.2%까지 크게 증가하여(p=0.037), 혈관 재생 관련 세포의 순환이 크게 향상되었다. 반면, 염증 유발 세포인 granulocyte precursors는 +0.3%에서 –50.8%로 현저히 감소하였다(p=0.002). TNF 및 인터루킨 신호에 연관된 염증성 혈청 단백질 수준도 유의미하게 줄어들었다. 이처럼 Semaglutide는 혈관 재생 촉진과 염증 억제라는 이중의 생물학적 효과를 동시에 나타냈다1).


그림1. 실험 디자인 및 결과. (출처: Eur Heart J. 2025, Brady Park et al)

세마글루타이드는 본래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 GLP-1RA)로 개발되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과 체중 감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기전적으로, 췌장 β세포에서 포도당 의존적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α세포에서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여 간 포도당 생산을 감소시키며, 위 배출 지연을 통해 식후 혈당 상승을 완화하고,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한다2).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사적·임상적 효과를 넘어, 혈관 생물학적 수준에서 재생 및 항염 기전까지 포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세마글루타이드는 단순한 대사조절제가 아닌,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 다차원적 치료 전략을 가능케 하는 약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임상적 의의

이 연구는 Semaglutide가 단순히 혈당을 조절하는 약제를 넘어, 혈관 내재 복원 기전을 활성화하는 잠재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혈관의 손상을 회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줄기세포 및 전구 세포의 순환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동시에, 염증 유발성 과립구 전구세포와 관련 사이토카인 수준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심혈관 조직의 회복과 동맥경화성 위험의 감소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다차원적 작용 기전은 향후 Semaglutide가 혈관 복원 및 항염증 효과를 통합한 심혈관 치료 전략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Brady Park et al. Semaglutide promotes bone marrow-derived progenitor cell flux toward an anti-inflammatory and pro-regenerative profile in high-risk patients: the SEMA-VR CardioLink-15 trial. Eur Heart J. 2025 Aug 31: ehaf690.
2) Drucker DJ. Mechanisms of Action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Glucagon-like Peptide-1. N Engl J Med. 2018;379:229–239.

대한심장학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1704호 (우: 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