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말
대한심장학회
간행이사
한주용/성균관의대
대한심장학회
간행위원회 간사
김은경/성균관의대
몹시 덥고 길었던 여름도 끝나가고 아침저녁으로는 제법 선선한 바람이 느껴집니다. 의료환경도 날씨만큼 급변하는 가운데, 회원 여러분들 모두 건강히 지내시기를 바랍니다.
이번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에서는 2025.08.29 ~ 09.01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연례 학술대회를 다루었습니다. ESC 연례 학술대회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심혈관계 학회로, 매년 임상 현장과 연구에 큰 영향을 주는 최신 근거들을 제시해왔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도 새로운 기전의 고혈압, 고중성지방 치료 약제, 심근병증에 대한 첨단 약물 치료, 적절한 항혈소판 및 항응고 치료 분야 등에서 중요한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었고, 이상지질혈증과 판막질환에 대한 치료지침도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국내 연구진들이 Hot line 및 Late breaking clinical trial을 비롯하여 여러 중요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여, 이를 정리하여 전해드리게 되었습니다. 심장학회 간행위원회에서 준비한 이 내용들이 선생님들의 진료와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수고를 아끼지 않은 간행위원 및 사무국 직원들과 학회의 지원에 마음 깊이 감사드립니다. 다가오는 대한심장학회 연례 학술대회에서 뵐 수 있기를 바라며 모든 회원님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IHD & Intervention
-
심박출량이 보존된 심근경색환자에서도 베타차단제는 효과적인가? (BETAMI-DANBLOC trial)
Beta-Blocker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out Heart Failure
김이식/전북의대 -
고위험 복잡성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환자에서 맞춤형 대 표준 항혈전 전략 비교 연구
Tailored vs Conventional Antithrombotic Strategy Intended for Complex High-Risk PCI(TAILORED-CHIP Trial)
박덕우/울산의대 -
ST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다혈관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입원 중 즉시 완전 재관통 대 단계적 재관통 비교연구 (OPTION–STEMI): 다기관, 비열등성, 공개형,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
Immediate versus staged complete revascularisation during index admission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nd multivessel disease (OPTION–STEMI): a multicentre, non-inferiority, open-label, randomised trial
안영근/전남의대
VHD
-
TRISCEND II 연구: EVOQUE 시스템을 이용한 경도관 삼첨판 치환술은 중증 이상의 삼첨판 역류에서 효과적임을 재확인하다
Tricuspid valve replacement outcomes by baseline tricuspid regurgitation severity: the TRISCEND II trial
김은경/성균관의대 -
무증상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에서 심근 섬유화 정도와 조기 치료 전략의 임상적 의미
Post hoc analysis of EVOLVED – Myocardial Fibrosis Burden and Earl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Asymptomatic Severe Aortic Stenosis
김소리/고려의대
Arrhythmia
-
ALONE-AF: 심방세동 도자 절제술 후 재발이 없다면 항응고제를 끊어도 될까?
ALONE-AF: Anticoagulation after catheter ablation in atrial fibrillation without recurrence
이기홍/전남의대 -
냉각 풍선 절제술을 이용한 좌심방 후벽 절제술의 효과에 대한 연구
EXCAPE-AF – Comparison of extended cryoballoon, standard cryoballoon, and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조민수/울산의대 -
PhysioSync-HF 연구: 좌각차단을 동반한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에서 전도계통 조율은 양심실 조율에 비해 사망, 심부전 사건 및 좌심실 기능 개선 효과에서 열등하였다
PhysioSync-HF: Conduction system vs. biventricular pacing for cardiac resynchronization in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박영준/연세원주의대